

CHANG HYUN PANG RESEARCH GROUP
Welcome to SP3 Lab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 (SP3) Lab
for Bioinspired Soft Electronics, Robotics and Biomedical Devices
Super-지능형 고분자 3D 아키텍처 연구실
for 생체모사 고분자 전자소자, 로봇, 바이오메디컬 소자



OVERVIEW
-
Our vision revolves around several platforms for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with a nature/bio-inspired approach by combining with multi-functional materials and large-area processing.
-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include hierarchical nano/micro patterning via unconventonal lithography, 2/3/4D-printing, nanostructural assembly, and molecular level chemical treatments.
-
Diverse super-intelligent programmable polymer 3D-architectures are investigated through understanding detailed physical and chemical phenomena and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s.
-
By tailoring ultra-intelligent polymer 3D architectures, we are focusing on developing highly efficient deformable electronics, physical/chemical sensors, and soft robots/actuators, metaverse haptic device interfaces, energy harvesting devices, and biomedical drug delivery devices.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for Bioinspired Soft Electronics and Bioelectronics


Soft Poymer Robots, E-skin, & Metaverse Haptic Devices
Biomedical Drug Delivery Devices & Energy Harvesting Devices


NOTICE
[포스닥 & 대학원생 모집]
지능형 소재 및 인터페이스 연구실에서는 세계적인 연구를 함께 주도할
대학원생(등록금 전액, 생활비 Full 지원, 해외학회 및 해외/기업연수 지원)을 모집합니다.
연구 및 취업 분야: 지능형 반도체 전자 소재, 바이오 소재 및 소자, 메타버스 센서 및 부착 소재, 및 소프트 로봇 소재

LATEST NEWS
Our article “A wet-tolerant adhesive patch inspired by protuberances in suction of octopi (Baik et al), ” was featured in a number of AFP & UK Presses.
[AFP]-interview [AFP & Times Live]- New
▷https://www.msn.com/g00/en-us/video/downtime/octopus-inspires-s-korea-breakthrough-adhesive-patch/vp-BBCTu7s?i10c.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Octopus-inspired adhesive could heal wounds (physicsworld.com) by Tim Wogan | June 14, 2017
See the article: http://physicsworld.com/cws/article/news/2017/jun/14/octopus-inspired-adhesive-could-heal-wounds
Solid and structural mechanics expert Nicola Pugno of the University of Trento in Italy believes that the work is significant. He points out that while the adhesiveness of a large conventional suction cup is comparable or slightly higher that the new surface, large suction cups cannot attach to very small or rough surfaces.
He also says that producing a film embedded with microscopic conventional suction cups would be very difficult: "A suction cup seems to be simple but, as a geometry, it's quite complex: it's tapered, for example."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aspect is that they were able to produce in large area these microscopic, strange suction cups with the peculiar geometry of the octopus suction cups. When you understand all the physics and optimise everything, perhaps you can achieve an order of magnitude increase in adhesion strength."
Researchers make adhesive patch that sucks like an octopus (AFP & Times Live )19 June 2017 - 10:44
See the article: https://www.timeslive.co.za/news/sci-tech/2017-06-19-researchers-make-adhesive-patch-that-sucks-like-an-octopus/
& The others.
[MBC] [KBS]
■ MBC [뉴스데스크]
◀ 앵커 ▶
접착제 없이 물건을 뗐다 붙일 수 있는 이 흡착판은 습기가 많을 때 쓸 수 없다는 게 아쉬운데요.
문어의 빨판에서 힌트를 얻어 어느 곳에나 착착 달라붙는 만능 접착판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전동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길게 뻗은 다리로 소라를 감아 들이고, 새우를 낚아채고 꼼짝없이 옭아맵니다.
사람의 팔에 달라붙은 빨판은 새빨간 자국을 남깁니다.
물 속이든 물 밖이든 장소를 가리지 않는 강력한 문어 빨판의 비밀은 어떤 것일까.
국내연구진은 문어 빨판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이중 구조에 주목했습니다.
동그란 돌기가 빨판 내부로 들어온 물기를 가둠으로써 표면을 진공상태로 바꾼 겁니다.
진공상태가 되어야 빨판의 흡입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백상열/성균관대 연구원]
"문어를 구입해서 해부를 해봤습니다. 빨판 내부에 특이한 돌기 구조가 있다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을 했고…"
문어 빨판 구조를 본 따 만든 '만능 접착 패치'는 물속에서도 엄지손톱만 한 크기로 3,400g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연구진이 만든 접착 패치입니다.
물기가 묻어있는 피부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가 않습니다.
화학성분인 접착제와 달리 반 영구적으로 쓸 수 있어 병원이나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창현/성균관대 화공·고분자공학 교수]
"반도체 이송이나 고정에 쓰이는 기술로 응용될 수 있고요. 휘는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떼었다 붙였다 하는 데도 (활용될 것 같습니다.)"
문어를 닮은 '만능 패치' 기술은,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 오늘자에 게재됐습니다.
MBC뉴스 전동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