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OVERVIEW

  • Our vision revolves around several platforms for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with a nature/bio-inspired approach by combining with multi-functional materials and large-area processing. 

 

  •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include  hierarchical nano/micro patterning via unconventonal lithography, 2/3/4D-printing, nanostructural assembly, and molecular level chemical treatments.   

  • Diverse super-intelligent programmable polymer 3D-architectures are investigated through understanding detailed physical and chemical phenomena and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s.

  • By tailoring ultra-intelligent polymer 3D architectures, we are focusing on developing highly efficient deformable electronics, physical/chemical sensors, and soft robots/actuators, metaverse haptic device interfaces, energy harvesting devices, and biomedical drug delivery devices.

이미지 제공: Sue Thomas
이미지 제공: USGS
이미지 제공: Serena Repice Lentini
이미지 제공: Zdeněk Macháček
이론 및 시뮬레이션_.tif

Super-intelligent polymer 3D-architectures for Bioinspired Soft Electronics and Bioelectronics

11.jpg
1111.jpg

Soft Poymer Robots, E-skin, & Metaverse Haptic Devices 

Biomedical Drug Delivery Devices & Energy Harvesting Devices

소프트 로봇 및 메타버스 디바이스.tif
바이오 소자 및 에너지 소자.tif
로봇손가락.tif

NOTICE

[포스닥 & 대학원생 모집]

지능형 소재 및 인터페이스 연구실에서는 세계적인 연구를 함께 주도할   

박사후 연구원 및 대학원생(등록금 전액, 생활비 지원, 해외학회 및 연수 지원)을 모집합니다.

연구분야: 지능형  반도체 전자 소재, 바이오 소재 및 소자, 메타버스 센서 및 부착 소재, 소프트 로봇 소재

홈페이지 공고용.tif

LATEST NEWS

[MBC] [KBS]



MBC [뉴스데스크]


◀ 앵커 ▶

접착제 없이 물건을 뗐다 붙일 수 있는 이 흡착판은 습기가 많을 때 쓸 수 없다는 게 아쉬운데요.

문어의 빨판에서 힌트를 얻어 어느 곳에나 착착 달라붙는 만능 접착판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전동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길게 뻗은 다리로 소라를 감아 들이고, 새우를 낚아채고 꼼짝없이 옭아맵니다.

사람의 팔에 달라붙은 빨판은 새빨간 자국을 남깁니다.

물 속이든 물 밖이든 장소를 가리지 않는 강력한 문어 빨판의 비밀은 어떤 것일까.

국내연구진은 문어 빨판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이중 구조에 주목했습니다.

동그란 돌기가 빨판 내부로 들어온 물기를 가둠으로써 표면을 진공상태로 바꾼 겁니다.

진공상태가 되어야 빨판의 흡입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백상열/성균관대 연구원]

"문어를 구입해서 해부를 해봤습니다. 빨판 내부에 특이한 돌기 구조가 있다는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을 했고…"

문어 빨판 구조를 본 따 만든 '만능 접착 패치'는 물속에서도 엄지손톱만 한 크기로 3,400g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연구진이 만든 접착 패치입니다.

물기가 묻어있는 피부에 붙여도 잘 떨어지지가 않습니다.

화학성분인 접착제와 달리 반 영구적으로 쓸 수 있어 병원이나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창현/성균관대 화공·고분자공학 교수]

"반도체 이송이나 고정에 쓰이는 기술로 응용될 수 있고요. 휘는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떼었다 붙였다 하는 데도 (활용될 것 같습니다.)"

문어를 닮은 '만능 패치' 기술은,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 오늘자에 게재됐습니다.


MBC뉴스 전동혁입니다.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546/n7658/full/546358a.html


Our Article on Nature posted on Nature New & View (14 June 2017)

In addition, my article has been introduced as Nature News by Jonathan J. Wilker

[Sangyul Baik, Da wan Kim, Youngjin Park, Tae-Jin Lee, Suk Ho Bhang, Changhyun Pang*, "A wet-tolerant adhesive patch inspired by protuberances in suction of octopi" Nature 546, 396-400 (2017)]




Materials science: How to suck like an octopus

Rubber sheets that reversibly bind and release substrates have been made by copying a subtlety in the shape of octopus suckers. The findings reveal how macro-scale biological structures can influence function.

Ask beachgoers how mussels, barnacles and oysters attach themselves to rocks, and they will often guess that suction cups are involved. Actually, these shellfish use adhesives. But go a little deeper into the water, and you will find organisms that do use suckers: octopuses. These soft-bodied animals use suction cups for surface attachment, locomotion and grabbing their next meal. On page 396, Baik et al.1 report adhesive patches that are synthetic mimics of octopus suckers. The authors go beyond simply copying suction cups by discovering a specific architectural feature that enhances adhesion.

[Hot Topic from the Nature Asia-Pacific]


[Featured in Bioinspired Materials in Nature.com]




Microtopography-Guided Conductive Patterns of Liquid-Driven Graphene Nanoplatelet Networks for Stretchable and Skin-Conformal Sensor Array (Adv. Mater. 21/2017)


Graphene nanoplates can be assembled into transparent and conductive ultrathin coatings on micropatterned surfaces or planar substrates by self-assembly via a convective Marangoni force. Based on this method, Sang Ouk Kim, Changhyun Pang, and co-workers fabricate a thin, stretchable, and skin-conformal strain-sensor array that has microtopography-guided, conductive patterns.


Link to journal article

Microtopography-Guided Conductive Patterns of Liquid-Driven Graphene Nanoplatelet Networks for Stretchable and Skin-Conformal Sensor Array: Youngjin Park, Jongwon Shim, Suyeon Jeong, Gi-Ra Yi, Heeyeop Chae, Jong Wook Bae, Sang Ouk Kim and Changhyun Pang

See the article: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ma.201606453/full


COPYRIGHT © i-BIML.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