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LATEST NEWS

ree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방창현·조수연 교수 연구진은 개구리의 발바닥을 본뜬 부드럽고 가벼운 광학 점착 바이오센서 패치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생체 부착 센서는 다양한 질환의 실시간 조기 진단을 위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다만 생체 표면에서 유체를 빠르게 모으고 분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 센서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한 간격으로 분비되는 극미량 유체를 수집해서 실시간으로 분석하지 못한다. 강제로 체액을 추출해 분석하는 장비만 있을 뿐이다.


연구진은 개구리 같은 양서류의 발바닥에 주목했다. 개구리 발바닥에는 육각형 점착 부분과 미세 배수 구조가 있다. 연구진은 개구리 발바닥의 이런 구조를 패치에 적용해 체액을 신속히 배출하고, 굴곡진 생체 표면에 긴밀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했다.


센서 내부에는 수분 흡수가 뛰어난 하이드로젤과 생체 투과성이 있는 근적외선 대역의 발광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센서를 결합했다. 적은 량의 땀이나 호르몬 같은 유체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다.


연구진이 개발한 패치는 운동이나 외부 자극 없이도 75나노리터(10억분의 1L) 수준의 극미량 땀을 45초 내에 빠르게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체액에서 비타민 성분이나 스트레스 수준을 알려주는 다양한 분자를 동시에 분석할 수도 있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센서 기술은 다양한 광학 센서와 결합해 초소형 정밀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술로 발전할 수 있다”며 “웨어러블(wearable·착용형) 헬스케어, 미시 생명현상 분석, 정밀 의료 분야까지 확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및 논문:

(좌측부터) 전북대 정창규 교수(교신저자), 성균관대 방창현 교수(교신저자)
(좌측부터) 전북대 정창규 교수(교신저자), 성균관대 방창현 교수(교신저자)

자연계에는 매우 다양한 미세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생명체들이 많다. 예를 들어 게코 도마뱀은 발바닥 표면에 미세한 섬모 구조 피부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독특한 상호작용으로 별도의 접착제가 없음에도 높은 접착력을 가지고 천장을 기어다닐 수 있다. 문어 빨판의 경우에는 미세하게 존재하는 진공 구조 덕분에 물속에서는 물론, 기름이 존재하는 표면에서조차도 매우 높은 접착 특성을 보인다.


전북대학교는 정창규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방창현 성균관대학교 화학고분자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러한 자연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물속에서도 강력한 정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소재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마찰전기 기반 원격센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소재 분야 상위 저널인 '나노 에너지'(Impact Factor 16.8)의 11월 온라인 최신판에 게재됐다. 주요 연구팀인 정창규 교수, 방창현 공동연구팀 외에도 다양한 응용 연구를 위해 성균관대 조수연 교수, 건국대 양태헌 교수 등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관련 기사 및 논문:

ree

우리 연구실 소속 전승환(주저자, 석박통합과정 수료), 황귀원(석박통합과정 9기), 이연수(석박통합과정 9기), 임도현(석박통합과정 7기) 학생이 지난 2월 12일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동상을 수상하였다.

전승환, 황귀원, 이연수, 임도현 학생은 “Easy-to-morph printable Marangoni-driven 3D microdome for E-skin with an ultragentle linear touch" 이라는 연구 주제로 Mechanical Engineering 분과에서 입상하였다.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COPYRIGHT © i-BIML.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